top of page
작성자 사진지유 김

제주항공 참사 관련 각국 언론 및 전문가 의견 정리(12/31)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분들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024년 연말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이례적인 일들로 규정짓게 하고 있습니다.

12월 29일 일요일 오전 9시에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는 국내 항공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고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단 두 명의 승무원을 제외한 탑승객 179명이 사망한 이번 사고는 활주로를 지나 콘크리트 둔덕에 충돌하면서 화재로 이어졌습니다.

현재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며,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래 글은 최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보잉 737-800 사고를 다각도로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해외 언론을 통해 바라본 이번 사고의 배경과 원인, 조종사·항공사·제조사·공항 설계 문제 간의 책임 공방, 배상 문제, 그리고 해외 전문가들의 구체적 의견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사고 개요 및 의문점


  • 사건 시점: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경

  • 사고 장소: 한국 무안국제공항

  • 항공기 정보: 제주항공 소속 보잉 737-800

  • 결과: 탑승객 181명 중 179명 사망, 단 2명 생존(동체 끝에 있던 승무원 2명)

    • 동체 착륙 도중 활주로를 벗어나 콘크리트 구조물(계기착륙장치 ILS 안테나 지지물)과 충돌로 대형 화재 발생으로 피해 극대화


  • 주요 의문점

    1. 버드 스트라이크가 사고의 직접적 원인인가?

    2. 랜딩 기어 미작동은 조종사의 선택인가, 시스템 결함인가?

    3. 공항 설계(활주로 끝 컨크리트 구조물)가 사고 피해를 더욱 확대했는가?


 

2. 사고 원인으로 제기된 요인


(1) 버드 스트라이크

  • 사전 경보: 관제탑에서 버드 스트라이크 경고를 내렸고, 기장은 이를 확인한 뒤 메이데이(Mayday)를 선언.

  • 전문가 의견:

    • 새 충돌로 한쪽 엔진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엔진 한 쪽이 꺼져도 비행 자체는 가능하다고 지적.

    • 버드 스트라이크 하나만으로 동체 착륙 및 대형 화재로 이어질 만큼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흔치 않음.

    • 두 엔진 모두가 동시에 손상되었거나, 버드 스트라이크 이후 전기·유압 계통 등 추가적 시스템 결함이 발생했을 가능성.


(2) 보잉 737-800 기종의 문제

  • 기종 특성: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운항되는 기종 중 하나로, 비교적 안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음.

  • 품질 이슈: 최근 보잉이 737 MAX 문제로 인해 품질 관리 논란을 겪으면서, 737-800도 추가 점검 필요성이 제기됨.

  • 현재 상황: 정부가 국내 운영 중인 모든 737-800 기종에 대해 긴급 점검을 지시했으나, 사고가 기체 자체 결함 때문인지 여부는 아직 확정적이지 않음.


(3) 공항 설계 문제

  • 콘크리트 구조물(둔덕): 활주로 끝에서 300m가량 떨어진 위치에 ILS 안테나를 지지하는 견고한 콘크리트 벽(또는 둔덕)이 존재.

  • 국제 안전 기준: EMAS(Engineered Material Arresting System) 등 활주로 끝 안전 구역이 확보되었다면 충돌 피해가 줄었을 가능성.

  • 전문가 지적: 일반적으로 활주로 말단에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충돌 시 폭발 및 화재 피해가 극대화되므로, “충격 완화형” 설계를 권고.


 

3. 한국과 해외 언론의 의견 비교


(1) 한국 뉴스의 의견

  • 조종사 옹호: 조종사를 “베테랑 조종사가 영웅적 결정을 했다”, 다른 조종사들도 "나라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며, 최선의 선택"이라고 평가하며, 과실을 부각하지 않는 경향. 일부 전문가들은 “1차 착륙 때 랜딩 기어가 정상적으로 내려왔는데, 2차 착륙 시에 왜 수동 착륙 기어도 작동 안 되었는지”를 해명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하지만 부각되지는 않음.

  • 외부 요인 강조: 사고 원인을 버드 스트라이크나 항공기 결함 및 공항 설계 문제로 돌리려는 태도.

  • 배경: 항공사와 조종사 비판 시 국내 여론이 과열될 수 있어 이를 최소화, 동시에 국가 책임도 줄이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


(2)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각국 반응들: 해외 뉴스 및 전문가 시각 (글의 길이를 고려하여 전문가 의견 혹은 최근 뉴스 한 개만 올립니다.)


CNN (미국)


  • 조종사 판단 미스 가능성을 중점 지적

  • 랜딩 기어가 전혀 내려오지 않은 점, 수동 방식을 통한 기어 전개 절차가 실행되지 않은 점을 매우 의아하게 봄.

  • 활주로 길이가 짧고, 공항 구조물이 충돌 피해를 키웠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



BBC (영국)


  • 복합 원인 강조

  • 버드 스트라이크, 조종사 실수, 항공사 운영, 공항 설계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보도.

  • 조종사의 판단 오류 가능성을 전문가 의견으로 다룸.



The Sun (영국 대중지)


  • 유해 관리 부실, 정부 대응 미흡 비판

  • 희생자들과 유가족에 대한 사후 조치에 문제가 있었다고 보도.

  • 공항 및 정부가 사고 뒤 피해자 존엄성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고 강도 높게 지적.




DW (독일)


  • 단일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려움

  • 버드 스트라이크만으로 동체 착륙과 대형 화재로 이어지기는 이례적이라고 지적.

  • 조종사 훈련 수준, 매뉴얼 준수 여부 등 긴급 대응 절차 점검 필요성을 제기.




ABC (호주)


  • 버드 스트라이크가 주요 촉발 요인이지만, 그로 인한 엔진 손상이 다중 시스템 오류로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제기.

  • ADS-B 송출신호 중단 및 랜딩 기어 미작동이 기체 전반의 전기 계통 마비를 시사할 수 있다고 봄.



CNA (싱가포르)


  • 사고 후 긴급 대응 및 가족 지원 부족과 대처 미흡을 비판.

  • 랜딩 기어 미작동과 조류 충돌로 인한 다중 엔진 고장 가능성을 언급.

  • 조종사와 기체 결함 중 어느 쪽이 더 큰 원인인지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 주장.



CBC & CTV (캐나다)


  • 랜딩 기어 수동 작동 실패는 큰 의문”이며 이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

  • 활주로 끝 공항의 콘크리트 외벽 설계와 위치가 사고 피해를 증폭시켰다고 평가.




Al Jazeera (카타르)


  • 랜딩 기어 미작동과 버드 스트라이크 등 복합적 원인 가능성을 모두 열어 신중하게 접근

  • 두 번째 착륙 시도 중 발생했다는 점, 외벽 충돌로 인한 대형 화재가 치명적 결과

  •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에는 블랙박스 분석과 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필수적



일본의 경우, 거의 모든 방송이 한국뉴스의 의견과 동일하게 전달하고 있고,

한국에서 일본으로 입국한 일본 국민들의 반응 등만 다루고 있어서 이 글에서는 제외했습니다.


 

4. 해외 전문가들의 구체적 의견


(1) 랜딩 기어 미작동에 대한 이례성

  • 여러 해외 전문가 공통 지적:

    • 비상 상황에서 유압·전기 계통이 고장나더라도, ‘중력 자유 낙하(gravity drop)’ 방식으로 착륙 기어를 전개할 수 있음.

    • 버드 스트라이크가 엔진 고장을 유발했다고 해도, 착륙 기어까지 완전히 마비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

    • 조종사가 절차를 놓친 것인지, 아니면 복합적인 시스템 장애가 동시에 발생했는지 의문.


(2) 엔진 고장 자체는 ‘치명적 상황’은 아닐 수 있음

  • 엔진 한쪽 손실로도 안전 착륙 가능:

    • 시뮬레이터 훈련에서 한쪽 엔진 고장은 자주 다루는 기본 비상 시나리오.

    • 문제는 다른 전기·유압 계통 또는 두 번째 엔진까지 고장나면 조종사 과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3) 공항 말단 콘크리트 벽 문제

  • 안전 구역 미비:

    • 활주로 끝에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어 충격 및 폭발 피해가 극대화되었다고 지적.

    • 통상적으로는 ILS 안테나가 충격 시 쉽게 파손되도록 설계하거나, EMAS 등 완충 장치를 둬야 함.


(4) 블랙박스(DFDR & CVR) 분석의 중요성

  • 비행 데이터 기록 장치(DFDR): 항공기 엔진·유압·전기 상태, 조종사 조작 정보 등을 시간순으로 확인 가능.

    • 조종실 음성 기록 장치(CVR): 조종사 간 대화, 관제탑과의 교신, 비상 경고음 등을 통해 사고 당시 상황을 재구성.

    • 전문가들은 “성급한 결론보다 블랙박스 분석과 국제 공조 조사가 필수”라고 입을 모음.


 

5. 조종사 과실 논쟁이 다른 이유


(1) 한국의 시각

  • 보잉사(항공사·제조사) 책임 강조

    • 조종사 개인 과실보다 보잉사나 항공사의 결함 혹은 스케줄 운영 문제를 부각.

    • 보잉이나 항공사 책임이 커지면 유가족 배상금도 커질 수 있음.

  • 국가 책임 최소화: 공항 설계나 감독 책임을 피하기 위한 전략적 보도 분석.


(2) 해외의 시각

  • 조종사 과실 중점

    • 랜딩 기어 수동 전개 실패, 2차 착륙 시도 절차 문제, 긴급 대응 미준수 등을 결정적 요인으로 지목.

    • 배상금 규모 변동: 조종사 실수로 결론 나면, 항공사·조종사 보험 범위가 한정. 반면 기체 결함/공항 설계 문제 인정 시 배상금이 대폭 늘어날 수 있음.

    • 보잉 결함 인정 시 파장: 동일 기종 전 세계 운항 중단, 제조사 신뢰도 하락, 대규모 리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미국 언론·당국이 조심스러운 모습도 보인다는 시각.


(3) 보상 및 배상금 책임의 주요 요인

  • 조종사 과실: 보험 청구 범위 한정 → 배상 규모 축소 가능

    • 기체 결함(보잉사): 제조 책임 → 전 세계 운용 중인 737-800 대규모 점검, 리콜 가능, 배상금 확대

    • 공항 설계 문제(정부·관제 당국): 국가 책임 부담 증가 → 법적·재정적 압박


 

6. 후속 조치와 개선 방향


(1) 안전 점검 강화

  • 정부 차원:

    • 국내 항공사 안전 관리 체계 전면 재점검

    • 보잉 737-800 기종 포괄적 검사 및 운영 지침 보강

  • 항공사 차원:

    • 정기 점검 주기 단축

    • 버드 스트라이크, 엔진 고장, 랜딩 기어 수동 작동 매뉴얼 등 비상 시나리오 재교육


(2) 공항 설계 재검토

  • 활주로 초과 지역 확보:

    • EMAS 등 국제 표준의 충격 완화 구역 설치 검토

    • ILS 등 구조물 위치 재배치·설계 개선

  • 장애물 규정 강화:

    • 활주로 끝 콘크리트 벽 제거 혹은 충격에 쉽게 부서지는 재질로 대체


(3) 조종사 훈련 개선

  • 비상 상황 대비 강화:

    • 랜딩 기어 수동 작동 절차 숙달

    • 엔진 한 쪽/두 쪽 동시 고장, 전기·유압 계통 이상 등 다중 고장 시뮬레이션

  • 실전 시뮬레이션 확대:

    • 짧은 활주로에서 복행(Go-around) 판단

    • 고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조종사 과부하 방지 훈련


(4) 투명한 사고 조사와 소통

  • 객관적 조사:

    • 블랙박스(DFDR, CVR) 분석 결과로 조종사·기체·공항 측 책임 비율 파악

    • 국제 전문가 협력(미국 NTSB, 보잉, ICAO 등) 통해 결론 도출

  • 유가족 및 대중과의 소통:

    • 사고 진행 상황, 보상 및 재발 방지 대책 투명 공개

    • 유가족에 대한 심리·금전 지원 체계 확립



 

7. 결론

이번 제주항공 참사는 버드 스트라이크, 조종사의 긴급 대응 실패, 공항 설계, 기체 결함 가능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 대형 비극으로 보입니다.

해외 전문가들은 특히 “엔진 한 쪽 고장은 시뮬레이션에서 자주 연습하는 상황으로, 결정적 사고로 이어지기엔 무리가 있다”며, 기어가 중력으로 내려오지 않은 점이 가장 이례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또한 활주로 끝 콘크리트 벽이 폭발 피해를 극대화했다고 비판하며, EMAS 등 안전 설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배상금과 책임 문제는 어느 측 과실이 주요 원인으로 인정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 조종사 과실 확정 시 배상 책임이 제한되는 반면,

  • 보잉 결함이나 공항 설계 문제가 결정적이라면 기업·국가의 부담이 커질 것입니다.


다만, 이 글의 핵심은 투명한 사고 조사와 책임 분배를 통해 유사 사고를 재발 방지하고, 항공 안전 수준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항공사는 매뉴얼 재점검과 정기 정비·훈련을 강화하고,

  • 정부공항 당국은 활주로 끝 안전 설계와 긴급 대응 체계를 국제 표준에 맞게 개선해야 합니다.

  • 조종사는 복합적 긴급 상황에도 절차를 놓치지 않을 역량을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


이 사고는 비극적 결과로 많은 희생을 낳았지만,

그 원인을 명확히 밝혀 구조적·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한다면, 향후 항공 안전이 한층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지긋지긋합니다.

책임공방, 니탓내탓, 내로남불... 우리 사회가 왜 이렇게 되었나요?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고 미루기 보다는, 책임을 다함으로서 이뤄낼 수 있는 미래를 생각해야할 때입니다.


기업(제조사, 항공사 모두) 및 국가는 서로 공방만 하지 말고,

피해자에 대한 존엄성을 인정하는 의미로, 유가족에 대한 진정한 사과 및 아낌없는 지원(책임 있는 보상),

그리고 항공 안전에 대한 철저한 대책 마련 및 개선책이 준비되고 이뤄질 때,

우리는 다시 한 번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으로 돌아와 항공 산업의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글은 위의 유튜브 영상 이외에도, 각 국가의 공신력있는 언론 매체 등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다만, 영어, 일본어, 한국어 이외의 언어는 이해하지 못하는 관계로, 다소 해당 언어에 편중되어 작성되어 있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



조회수 1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